시선의 집 House Of Sightlines
본문
- 건축 용도
- 단독주택 Single Family House
- 주요 구조
- 철근콘크리트 RC
- 위치
- 서울시 Seoul-si
에디터. 윤정훈 글&자료. 폴리머 건축사무소
건축은 변화하는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우리 사회가 내놓은 일종의 해결책이다. 현재 서울의 전체 인구는 줄어드는 반면 1인 가구는 오히려 늘면서 도심의 주거 밀도는 높아지고 있다. 이제 60대면 아직 젊다고 할 정도로 고령화 사회에 가까워진 가운데, 노인이나 사회초년생으로 이루어진 1인 가구의 증가는 집값 상승을 부추기는 요인이기도 하다. 이러한 현실이라면 핵가족보다 다양한 세대가 함께 사는 편이 여러모로 경제적이고 지속 가능할 수 있다.
‘시선의 집’은 부부와 두 자녀 그리고 조부모를 위한 3세대 동거형 단독주택이다. 보통 부모님과 함께 사는 집이라면 그야말로 대가족이 함께 모여 사는, 모든 생활이 하나로 합쳐진 공간을 떠올리게 된다. 부모님 댁에 얹혀사는 경우라면 며느리나 사위 입장에서는 불편한 점이 한둘이 아니다. 현재는 부모와 같이 산다는 것 자체가 기피해야 할 일이 돼버렸지만, 평균 수명이 더욱 늘어난 최근 들어 홀로 거주하는 연로한 부모님을 어떻게 모시고 보살펴야 할지 고민하는 이들이 늘어났다. 서울과 같은 대도시에서는 현실적으로 부모의 도움 없이 집을 구하기도, 자녀를 키우기도 어려운 것 또한 사실이다. 다가오는 초고령화 시대에 대가족을 위한 밀도 높은 단독 주택 유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이유다.
강남처럼 지가가 높은 도심에서는 건축 면적을 여유롭게 확보하기가 어렵다. 주택의 외피를 안으로 접어 생긴 주름은 마치 주름이 진 것처럼 보이는 독특한 외형은 인체 장기가 외부와 접촉하는 표면적을 늘리는 방법을 응용한 디자인이다. 설계의 관건은 제한된 조건 내에서 3세대 동거형 주거에 적합한 공간을 구성하는 것이었다. 50평 정도로 작은 대지 면적에 비해 가족 구성원의 수가 많아 실내 면적을 최대한 확보하되 작더라도 알찬 마당을 구획해야 했다.
그런데 허용된 건폐율과 용적률을 다 채우고 나니 외부에 주차할 정도의 공간만 남았다. 이에 지하에 주차 공간을 마련하고 지하 진입 경사로 위층에 다용도실과 부엌, 식당을 마련해 외부 공간을 온전히 마당으로만 쓸 수 있도록 했다. 지하 진입 경사로로 인해 실내에 단차가 생겨 오르내리는 불편함이 동반됐지만 가장 높은 부엌에서 식당과 거실, 가장 아래 마당을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게 됐다. 요리를 하면서 아이들이 노는 모습을 보고 싶다는 건축주의 바람까지 충족할 수 있었다.
내부에 생긴 단차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각 세대의 영역을 구분했다. 계단을 오르내리기 불편한 조부모 세대의 영역은 입구 가장 가까이 배치했고, 부모와 자녀들의 공간은 2층에 함께 두되 복도를 기준으로 각자의 영역을 구분했다. 가족 구성원이 복도를 통해 긴밀히 연결되면서 거실과 부엌, 식당과 마당에서 선택적으로 모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함께 있는 가운데 서로의 영역을 적당히 분리하여 독립성을 부여하고자 한 의도였다. 적당한 거리를 둠으로써 각자의 프라이버시를 존중할 수 있는 환경이 세대 간 동거형 주택에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세대별로 여가 시간 활용이 다른 점을 고려해 건축주 부부의 운동실은 지하에, 최상층 다락방엔 아이들의 놀이방을, 그리고 조부모가 주로 이용할 마당은 지상에 배치했다.
이 집의 또 다른 특징은 내부 공간을 팔각형 모듈로 구성했다는 점이다. 팔각형 공간은 직사각형에 비해 여러모로 장점이 많다. 모든 모서리의 모나지 않고 요철이 많아 좀 더 아늑한 실내 공간이 형성된다. 외부 주름에 이웃집 창과 비켜서 창을 내 사생활 침해를 방지했으며, 채광과 환기를 위해 창을 위아래로 길게 늘인 결과 외부에서 실내가 잘 보이지 않게끔 하는 효과까지 누릴 수 있었다. 결국 외피의 주름은 허용 면적을 꽉 채운 집에서 원활한 통풍과 환기, 풍성한 내부 공간을 실현하는 동시에 사생활을 보호하는 1석 3조의 해결책이 되었다.
기사원문
- 이전글도예가 부부의 삶과 풍경이 흐르는 집 23.02.22
- 다음글콤포트 서울 Comfort Seoul 23.02.22